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는 1943년 6월 1일, 히틀러 청소년단(HJ) 단원들을 주축으로 편성된 무장친위대 기갑사단이다. 1944년 노르망디 전역에 투입되어 격전을 치렀으며, 이 과정에서 캐나다군 포로 학살 등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노르망디 전투 이후 후퇴와 재편성을 거쳐 벌지 전투, 헝가리, 오스트리아 등지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1945년 5월 미군에 항복했다. 사단은 SS 기갑척탄병 사단, SS 기갑 사단, 제12 SS 기갑 사단 등의 명칭으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장친위대 기갑사단 - 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 기갑사단으로, 유럽 전역에서 활동하며 프랑스 오라두르쉬르글란 마을에서 민간인 학살을 자행한 것으로 악명 높고 종전 후 해체, 일부 생존자들은 전범으로 처벌받았다. - 무장친위대 기갑사단 - 제1SS기갑사단 경호친위대 아돌프 히틀러
제1SS기갑사단 경호친위대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 기갑사단으로, 히틀러 개인 경호 부대로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러 작전에 참여했지만 전쟁 범죄에 연루되어 악명을 얻었고, 전쟁 후반기에는 후퇴전을 거듭하다 일부 병력이 베를린 전투에 참여했다. - 히틀러 청소년단 - 발두어 폰 시라흐
발두어 폰 시라흐는 나치 독일 시대 히틀러 유겐트의 국가 지도자였던 독일 정치인으로, 나치즘에 심취하여 히틀러 유겐트를 합법적인 청소년 단체로 성장시키고 빈의 가우라이터 겸 제국총독으로 활동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반인륜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히틀러 청소년단 - 프리츠 비트
프리츠 비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SS 소장으로, 제12 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사단장으로 활동하며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지만, 노르망디 상륙 작전 중 연합군 포격으로 전사한 독일 군인이다. - 1939년 설립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군 체제로 운영되며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준비하고 국방개혁을 추진 중이나 가혹행위, 성폭력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39년 설립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
별칭 | 히틀러유겐트 |
군사 정보 | |
창설 | 1943년 |
해체 | 1945년 |
소속 | 무장친위대 |
병과 | 판처 (기갑) |
역할 | 기갑전 |
규모 | 사단 |
사단 규모 (1943년 11월 1일) | 14,030명 |
사단 규모 (1944년 6월 1일) | 20,540명 |
사단 규모 (1944년 8월 22일) | 12,000명 |
사단 규모 (1944년 11월 1일) | 21,219명 |
사단 규모 (1945년 2월 1일) | 19,961명 |
사단 규모 (1945년 4월 25일) | 6,828명 |
지휘 체계 | 제1SS기갑군단 |
최종 지휘 체계 | 제6SS기갑군 |
후원자 | 아르투르 악스만 |
표어 | 충성만이 나의 명예다 |
원어 표어 | Meine Ehre heißt Treue |
주요 전투 | 캉 전투 아르덴 공세 팔레즈 포위전 봄의 각성 작전 |
특기 사항 | 제12SS기갑사단은 제1SS기갑사단의 인원을 기반으로 편성됨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프리츠 비트 쿠르트 마이어 후고 크라스 |
2. 편성과 훈련
1943년 1월, 히틀러 청소년단 단원으로 구성된 무장 친위대 사단을 편성하자는 제안이 고틀로프 베르거 SS중장에 의해 나왔다. 베르거는 SS제국지도자 하인리히 힘러에게 이 제안을 했고, 힘러는 이 제안을 적극 지지하였다.
1926년에 출생한 히틀러 청소년단원으로 구성된 전투 사단을 만들자는 계획은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승인되었다. 1943년 2월 10일, HJ 사단을 편성하라는 공식적인 명령이 내려졌다. 베르거는 자신을 사단장으로 추천했지만, 힘러는 제1 SS 기갑 사단 LSSAH의 베테랑인 프리츠 비트 SS상급대령을 사단장으로 임명했다.[9] LSSAH 소속 인원들이 사단의 연대, 대대 및 대부분의 중대 지휘관을 맡았다.
1943년 9월 1일, 16,000명이 넘는 HJ 신병들이 6주간의 기초 훈련을 마치고 SS 기갑척탄병 사단 히틀러유겐트에 군적을 올렸다. 벨기에 베베를로(Beverloo)에서 훈련을 계속하던 중 기갑척탄병 사단이 아닌 기갑 사단으로 편성하라는 통고를 받았고, 그에 따라 사단은 SS 기갑 사단 히틀러유겐트로 재편성되었다. 대부분의 신병이 너무 어렸기 때문에 담배와 술 대신 과자와 사탕이 지급되었다.[37] 1943년 10월, 사단에 제12 SS 기갑 사단 히틀러유겐트라는 명칭이 수여되었다.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선전과 선동을 보고 자란 히틀러 청소년단원들은 나치즘을 열렬하게 신봉했지만 군인으로서의 자질은 매우 부족했다. 숙련된 기간병들이 필요했기 때문에 제1 SS 기갑 사단 LSSAH의 베테랑들이 히틀러유겐트 사단의 장교와 부사관으로 차출되었다. 부족한 인력은 육군에서 차출되었다. 사단에서 이루어진 훈련은 일반적인 훈련과 달랐다. 비트는 최대한 빨리 전투 준비를 끝마치기 위해 현실적인 전투 시나리오와 실사격 훈련을 주로 실시했다. 그 결과 HJ의 사기는 충천해졌고, 간부들과 병사들 사이의 관계는 신뢰와 존경을 바탕으로 끈끈해졌다.
1944년 4월, HJ는 전략 예비 기갑 부대로서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 기갑대장의 서부기갑집단에 배속되어 노르망디 캉 근방으로 이동했다.
1944년 봄 내내 사단은 주변 지형에 익숙해지기 위해서 캉 근방에서 훈련을 계속했다. 5월 27일 비트의 서른여섯 번째 생일과 SS소장 진급을 축하하는 파티가 열렸다. 1944년 6월 초 사단은 투입 준비를 완료했다고 보고했다. 1944년 5월 히틀러유겐트 사단 병력 일부가 제1 SS 기갑 사단 LSSAH으로 전속되었다.[39]
1944년 6월 1일 기준, 사단 작전 참모 후베르트 마이어 SS소령이 작성한 인원 및 장비 현황 보고서는 다음과 같다.[38]
구분 | 정원 | 부족 |
---|---|---|
장교 | 664 | 144 |
부사관 | 4,575 | 2,192 |
병 | 15,277 | + 2,360 |
러시아 보조병 | (1,103) | (887) |
합계 | 20,516 | 24 |
장비 | 인가 | 보유 | 충족률 | 단기수리 |
---|---|---|---|---|
3호 전차 | 4 | 2 | 50% | - |
4호 전차 | 101 | 91 | 90% | 7 |
5호 전차 (판터) | 81 | 48 | 59.2% | 2 |
대전차 자주포 (4호 구축전차) | 45 | 12 | 26.6% | 1 |
대공전차 (FlakPz38) | - | 12 | - | - |
보병 수송 장갑차 | 390 | 306 | 78.4% | 27 |
- 단기 수리는 3주 이내 수리 가능한 차량을 의미한다.
3. 노르망디 전역
1944년 6월 6일 서방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개시되자, 제12 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이하 HJ)는 제21 기갑 사단과 함께 상륙지점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었다. 그러나 히틀러의 출동 허가가 늦어져, HJ는 상륙 당일 오후 2시 30분이 되어서야 전선으로 출동할 수 있었다. 사단은 연합군 전투폭격기의 공격으로 인해 소드와 주노 해안 근방으로 진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6월 6일 밤 10시경에야 선발대가 에브레시(Evrecy) 근방의 집결지에 도착했다.
6월 7일, 쿠르트 마이어 SS대령의 제25 SS 기갑척탄병 연대는 막스 뷘셰 SS중령의 제12 SS 기갑 연대 2대대와 함께 캐나다군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마이어는 캐나다군을 "바다에 던져진 작은 물고기"라고 표현하며 공격을 독려했지만, 정찰 정보 부족과 지원 부대의 부재로 인해 공격은 초기에만 성공적이었을 뿐, 곧 추진력을 잃었다. 셔브룩 퓨질리어 연대는 독일군의 반격으로 M-4 셔먼 전차를 25량 이상 손실했지만, 노스 노바스코샤 하이랜더 연대 잔존병들은 방어선을 구축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했다.
마이어는 아르덴 수도원에 지휘 본부를 설치했다. 이곳에서 12명이 넘는 캐나다군 포로가 심문 후 살해되었으며, 기록에 따르면 HJ에 항복한 캐나다군 포로 100여 명이 살해당했다.
6월 8일, 빌헬름 몽케 SS중령의 제26 SS 기갑척탄병 연대가 전선에 도착하여 노레 앙 베상(Norrey-en-bessin)을 향해 공격을 개시했다. 그러나 이번에도 정찰 부족과 캐나다군의 강력한 방어로 인해 공격은 실패하고 막대한 사상자만 발생했다. 게르트 브레머 SS소령 휘하 제12 SS 기갑수색 대대도 이 공격에 참가하여 포로 학살에 가담했다.
이러한 반격에도 불구하고, HJ는 연합군을 바다로 몰아내는 데 실패했다. 6월 14일, 프리츠 비트 SS소장이 영국군의 함포 사격으로 전사하고, 33세의 쿠르트 마이어가 지휘권을 인수했다.
이후 4주 동안 HJ는 캉을 확보하려는 연합군의 기도를 저지하며 치열하게 저항했다. 그러나 1944년 7월 9일, 마이어는 캉 북부 전선을 사수하라는 히틀러의 명령을 무시하고 잔존 병력을 이끌고 캉 남쪽으로 후퇴했다.
약간의 휴식 후, HJ는 7월 19일 영연방군의 굿우드 작전을 막기 위해 재투입되었고, 이후 제1 SS 기갑 군단의 예비 기동 전력으로 활용되었다. 8월 초, HJ는 토탈라이즈 작전과 트랙터블 작전을 저지하기 위한 방어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팔레즈 포위망에 갇힌 아군의 탈출을 돕는 과정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HJ는 노르망디 전투에서 용맹함을 보여주었지만, 캐나다군 포로 학살 등 전쟁 범죄를 저지르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 아르덴 수도원 학살 === 문단 참조)
3. 1. 아르덴 수도원 학살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간 중 1944년 6월 7일 저녁, 노스 노바 스코샤 하이랜더스 연대, 스토먼트, 던다스 앤드 글렌게리 하이랜더스 연대, 제27 기갑 연대 소속 캐나다군 포로 11명이 머리 뒤에 총을 맞는 방식으로 살해당했다.[29] 1944년 8월부터 1945년 8월까지 1년간 캐나다 전쟁 범죄 위원회(CWCC)는 살인 사건의 세부 사항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으며, 연대 지휘관 쿠르트 마이어를 주요 용의자로 지목했다.[29]1945년 12월, 마이어는 전쟁 범죄 재판에서 부하들에게 살인을 사주하고 아르덴 수도원 학살에 대한 지휘 책임을 물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1945년 12월 28일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1946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1954년 석방되었다.
4. 후퇴와 재편성
1944년 9월, 히틀러유겐트 사단은 프랑스-벨기에 국경에서 퇴각전에 참가했다. 당시 사단의 척탄병은 500명을 헤아리기 어려웠고, 전차나 중장비는 전무했다.[30] 9월 6일, 쿠르트 마이어 SS소장이 벨기에 파르티잔에게 포로로 잡히면서, 사단 작전 참모였던 후베르트 마이어 SS소령이 사단 지휘권을 인수했다.[30]
1944년 11월, 사단은 재편성을 위해 독일 나인부르크로 이동했다. 병력 충원은 주로 해군과 공군에서 차출된 장병들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재편된 사단은 이전과 같은 정예 전력과는 거리가 멀었다.[30] 같은 달 말, 후고 크라스 SS대령이 새로운 사단장으로 임명되었고, 사단은 제프 디트리히 SS상급대장 휘하 제6 기갑군에 소속되어 라인 강을 보라 작전을 준비했다.[30]
5. 벌지 전투
1944년 12월 16일, 라인 강을 보라 작전이 개시되었다. 제1 SS 기갑 사단 LSSAH에서 차출된 병력으로 편성된 파이퍼 전투단이 140여 대의 전차로 이 공세의 선봉을 맡아 적 수비선을 돌파했다.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는 파이퍼 전투단을 따라 진격로를 개척했지만, 제12 국민척탄병 사단으로 인해 발생한 교통 정체로 진격은 금세 난항에 빠졌다.[30] 전선에 이른 사단은 엘제보른 고개에 자리를 잡은 미국 제99 보병 사단과 동사단으로부터 전선을 인수한 미국 제2 보병 사단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 수 차례에 걸친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그 결과 사단은 좌익으로 돌려졌고, LSSAH 사단 본대가 선두에 서게 되었다.[31] 미군의 방해로 사단은 목적지에 이르지 못했고, 파이퍼 전투단이 괴멸된 후에는 제프 디트리히 SS상급대장 휘하 제6 기갑군 또한 같은 처지가 되고 말았다. 연말이 가까워오자 히틀러유겐트는 바스토뉴를 확보하기 위해 남쪽으로 기수를 돌렸고, 바스토뉴 시 주변에서 격전을 벌였다. 1945년 1월 18일, 히틀러유겐트를 포함한 모든 독일군은 진격을 개시했던 지점으로 되밀려났다.[32]
6.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1945년 1월, 사단은 헝가리로 이동하여 부다페스트를 구출하기 위한 작전에 투입되었다. 제4SS기갑군단이 여러 차례 구출 작전을 펼쳤지만 실패했다.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는 제1SS기갑군단의 일부인 LSSAH와 함께 1945년 2월 초 부다페스트 함락 며칠 전에 헝가리에 도착했다. 이후 사단은 헝가리 유전을 다시 점령하기 위한 봄의 각성 작전에 참가했다. 1945년 3월 6일 공격이 시작되었으나,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진흙 투성이의 지형과 강력한 소련군의 저항으로 인해 공격은 멈추었다.[31]
3월 16일, 소련군은 대규모 반격을 가하여 독일 남부 전선을 빈 방향으로 후퇴시켰다. 소련군은 4월 13일에 빈을 점령했다.[31] 오덴부르크와 히르텐베르크를 거쳐 후퇴한 사단은 미군 전선 근처인 오스트리아의 린츠에 도착했다. 1945년 5월 8일, 스탠리 에릭 라인하트 소장이 지휘하는 제65보병사단에 엔스 마을 근처에서 10,000명의 병력이 항복했다.[31]
이 작전의 실패 후, 아돌프 히틀러는 무장 친위대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 히틀러는 제12SS기갑사단을 포함한 제6SS기갑군 소속 무장 친위대 사단들에게 수여했던 소매 띠장을 반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제프 디트리히 SS상급대장은 이 명령을 부하들에게 전달하지 않았다.[31]
7. 전쟁 범죄
제12 SS 기갑사단은 노르망디 전역에서 캐나다군 포로 학살 등 여러 건의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1944년 6월 7일과 6월 8일 사이 캉 남쪽에 위치한 아르덴 수도원에서 쿠르트 마이어 SS대령 휘하 제26 SS 기갑척탄병 연대 소속 일부 병사들이 캐나다군 포로를 학살했다. 이 사건은 마이어의 지휘 본부에서 벌어졌기 때문에 전후 마이어는 부하 몇 명과 함께 이와 관련된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쿠르트 마이어를 피고로 한 전쟁범죄 재판에서 이루어진 증언은 마이어가 전투 후에 포로를 잡지 않으려고 했다는 내용을 바탕으로 혐의를 뒷받침해 주었다. 전후 마이어는 캐나다군 및 영국군 포로 학살 공모 혐의로 기소되어 캐나다 군 법정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1946년 1월 캐나다군 재판관 크리스토퍼 보크스 소장은 모든 정황 증거를 참작해 마이어의 형을 종신형으로 감형했다. 1954년 9월 7일 노르망디에서 포화를 교환한 캐나다 및 영국 장교들의 도움으로 마이어는 석방되었다.
아르덴 수도원 학살에서 6월 7일 저녁, 노스 노바 스코샤 하이랜더스 연대, 스토먼트, 던다스 앤드 글렌게리 하이랜더스 연대, 그리고 제27 기갑 연대 (셔브룩 퓨질리어 연대) 소속 캐나다군 포로 11명이 머리 뒤에서 총을 맞고 살해당했다.[29] 1945년 12월 마이어의 전쟁 범죄 재판에서, 그는 부하들에게 살인을 사주하고 아르덴 수도원에서 벌어진 살인 사건에 대한 지휘관으로서 책임을 물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1945년 12월 28일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1946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그는 1954년에 석방되었다.[29]
6월 8일, 빌헬름 몽케 SS중령 휘하 제26 SS 기갑척탄병 연대 일부 병사들이 캐나다군 포로 36명을 학살했다. 같은 날 사단 기갑수색 대대 소속 중대 일부 병력들이 12명이 넘는 캐나다군 포로를 추가로 학살했다. 보릉후트 학살로 알려진 사건에서는 로얄 워윅셔 퓨질리어 연대(The Royal Warwickshire Fusiliers) 2대대 소속 영국군 포로 약 80명이 전사한 디트리히의 복수를 위해 살해되었다. 학살이 자행되었다는 것은 명백하지만, 몽케가 학살에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는 전혀 알 수 없었고, 그에 따라 그는 진술을 위해 재판에 회부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빌헬름 몽케는 종전 후 수십 년이 지나서야 영국, 캐나다, 미국 법정에 대전 중 저지른 여러 사건으로 기소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혐의에도 불구하고 어떤 나라도 독일 법정에 몽케를 출두시키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는 노르망디로 이동하는 동안 첫 번째 학살을 저질렀다. 1944년 4월 1일, 사단은 프랑스 아스크에서 86명의 프랑스 남성을 처형했는데, 이는 사단이 탑승한 철도가 파괴된 것에 대한 민간인에 대한 보복이었다. 호송대 지휘관인 SS-''오버슈름퓌러'' 발터 하우크는 병사들에게 철로 양쪽의 가옥에서 모든 남성을 수색하고 체포하라고 명령했다. 총 70명이 철로 옆에서 총살되었고, 다른 16명은 마을에서 살해되었다. 1949년, 하우크는 프랑스 릴에서 재판을 받았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의 형은 나중에 종신형으로 감형되었다. 그는 추가 감형을 받아 1957년에 석방되었다.
8. 부대 구성 및 지휘관
1943년 1월, 히틀러 청소년단 단원으로 무장친위대 사단을 편성하자는 아이디어가 고틀로프 베르거 SS중장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9] 베르거는 이를 SS제국지도자 하인리히 힘러에게 제안했고, 힘러는 이를 적극 지지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26년생 히틀러 청소년단원으로 구성된 전투 사단을 만들자는 계획을 승인했다. 히틀러 또한 이 제안에 열렬한 지지를 보냈고, 1943년 2월 10일 HJ 사단을 편성하라는 공식적인 명령이 내려졌다. 베르거는 사단장으로 자신을 추천했지만, 힘러는 제1 SS 기갑 사단 LSSAH의 베테랑인 프리츠 비트 SS상급대령을 사단장으로 임명했다.[9]
신규 부대에 사용할 문장 도안을 위한 경연대회가 열렸고, 채택된 것은 제1 SS 기갑 사단 LSSAH 문장으로 쓰인 열쇠에 히틀러유겐트 지크루네(sigrune)가 엇갈리게 교차된 문장이었다.
1943년 9월 1일, 16,000명이 넘는 HJ 신병들이 6주간의 기초 훈련을 마치고 SS 기갑척탄병 사단 히틀러유겐트에 군적을 올렸다. 벨기에 베베를로(Beverloo)에서 훈련을 계속하던 중 기갑척탄병 사단이 아닌 기갑 사단으로 편성하라는 통고를 받았고, SS 기갑 사단 히틀러유겐트로 재편성되었다. 대부분의 신병이 너무 어렸기 때문에 담배와 술 대신 과자와 사탕이 지급되었다.[37] 1943년 10월, 제12 SS 기갑 사단 히틀러유겐트라는 명칭이 수여되었다.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선전과 선동을 보고 자란 히틀러 청소년단원들은 나치즘을 열렬하게 신봉했지만, 군인으로서의 자질은 매우 부족했다. 숙련된 기간병들이 필요했기 때문에 제1 SS 기갑 사단 LSSAH의 베테랑들이 히틀러유겐트 사단의 장교와 부사관으로 차출되었다. 부족한 인력은 육군에서 차출되었다. 훈련은 현실적인 전투 시나리오와 실사격 훈련이 주가 되었고, 그 결과 HJ의 사기는 충천해졌고, 간부들과 병사들 사이의 관계는 신뢰와 존경을 바탕으로 끈끈해졌다.
1944년 봄, HJ는 전략 예비 기갑 부대로서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 기갑대장의 서부기갑집단에 배속되어 노르망디 캉 근방으로 이동했다.
1944년 6월 초, 사단은 투입 준비를 완료했다고 보고했다. 다음은 1944년 6월 1일 사단 작전 참모 후베르트 마이어 SS소령이 작성한 인원 및 자재 상황 보고서이다.[38]
구분 | 정원 | 부족 |
---|---|---|
장교 | 664 | 144 |
부사관 | 4,575 | 2,192 |
병 | 15,277 | + 2,360 |
러시아 보조병 | (1,103) | (887) |
합계 | 20,516 | 24 |
장비 | 인가 | 보유 | 충족률 | 단기수리 |
---|---|---|---|---|
3호 전차 | 4 | 2 | 50% | - |
4호 전차 | 101 | 91 | 90% | 7 |
5호 전차 (판터) | 81 | 48 | 59.2% | 2 |
대전차 자주포 (4호 구축전차) | 45 | 12 | 26.6% | 1 |
대공전차 (FlakPz38) | - | 12 | - | - |
보병 수송 장갑차 | 390 | 306 | 78.4% | 27 |
- 단기 수리는 3주 이내 수리 가능한 차량을 의미한다.
사단의 전력은 여의치 못했으며, 특히 제12 SS 전차구축 대대는 4호 구축전차를 정족수까지 확보하지 못해 투입 태세를 갖추지 못한 상태였다. 1944년 5월, 히틀러유겐트 사단 병력 일부가 제1 SS 기갑 사단 LSSAH으로 전속되었다.[39]
1944년 5월, 2,055명의 부사관 및 병사가 재편성을 위해 러시아 전선에서 벨기에에 있는 히틀러유겐트 사단 병영으로 이동해온 아돌프 히틀러 사단으로 이동했다. 이로 인해 병력 수치상으로는 여유 인원이 장교, 부사관의 부족분을 메우는 형태가 되었다.[39]
8. 1. 사단명의 변천
- '''SS 기갑척탄병 사단 히틀러유겐트''' (SS-Panzer-Grenadier-Division Hitlerjugend): 1943년 2월 ~ 1943년 10월
- '''SS 기갑 사단 히틀러유겐트''' (SS-Panzer-Division Hitlerjugend): 1943년 10월
- '''제12 SS 기갑 사단 히틀러유겐트''' (12. SS-Panzer-Division Hitlerjugend): 1943년 10월 ~ 1945년 5월
8. 2. 역대 지휘관
이름 | 계급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프리츠 비트 | SS소장 | 1943년 6월 24일 | 1944년 6월 14일 |
쿠르트 마이어 | SS소장 | 1944년 6월 14일 | 1944년 9월 6일 |
후베르트 마이어 | SS중령 | 1944년 9월 6일 | 1944년 10월 24일 |
프리츠 크레머 | SS소장 | 1944년 10월 24일 | 1944년 11월 13일 |
후고 크라스 | SS소장 | 1944년 11월 13일 | 1945년 5월 8일 |
8. 3. 전투 서열
1944년 6월 히틀러유겐트 사단의 전투서열은 다음과 같다. 이후는 지휘관을 제외하곤 대동소이하다.[38]- '''사단 사령부'''(533명)
:* 사단장 프리츠 비트 SS소장
:* 작전 참모 후베르트 마이어 SS소령
:* 군수 참모 프리츠 부흐자인 (Fritz Buchsein) SS소령
:* 사단 부관 하인리히 슈프링어 SS소령
:* 사령부 호위 중대 - 중대장 프리츠 군트룸 (Fritz Guntrum) SS중위
::* 1소대 - 소총 소대
::* 2소대 - 중기관총 소대
::* 3소대 - 대전차 소대
::* 4소대 - 경보병포 소대
::* 5소대 - 경기관총 소대
::* 6소대 - 오토바이 보병 소대
- '''제12SS기갑연대(SS-Panzerregiment 12)'''(2,301명)
:* 연대장 막스 뷘셰 SS중령
:* 제1 전차 대대 (판터 대대) - 대대장 아놀트 위르겐슨 (Arnold Jürgensen) SS소령
::* 본부 중대
::* 1중대 - 쿠르트 안톤 베를린 (Kurt Anton Berlin) SS대위
::* 2중대 - 헬무트 게데 (Helmut Gaede) SS중위
::* 3중대 - 루돌프 폰 리벤트로프 SS중위
::* 4중대 - 한스 파이퍼 (Hans Pfeiffer) SS대위
::* 수리 중대 - 로베르트 마이어 (Robert Maier) SS소위
:* 제2 전차 대대 (4호 전차 대대) - 대대장 칼 하인츠 프린츠 (Karl-Heinz Prinz) SS소령
::* 본부 중대
::* 5중대 - 헬무트 반도 (Helmut Bando) SS중위
::* 6중대 - 루트비히 룩데셸 (Ludwig Ruckdeschel) SS대위
::* 7중대 - 파트릭 뢰젠 (Patrick Rösen) SS대위
::* 8중대 - 한스 지겔 (Hans Siegel) SS중위
::* 9중대 - 오스투프 뷔트너 (Ostuf Buettner) SS중위
::* 수리 중대 - 칼 뮐러 (Karl Müller) SS대위
::* 원 4호 전차 대대 편제는 각 22량을 장비한 4개 중대이나 새로운 기갑 전술을 시험하고 있던 히틀러유겐트 사단은 1개 전차 중대를 4호 전차 17량과 대공전차 3량으로 편성했다. 동 사단이 장비한 4호 전차 차체에 4연장 20 밀리미터 대공포를 장착한 대공 전차는 비르벨빈트 대공 전차의 프로토 타입이 되었다. 단, 수량 부족으로 1개 중대는 동 대공전차 3량으로 구성된 대공 소대를 배속받지 못했다.[38]
- '''제25SS기갑척탄병연대(SS-Panzergrenadierregiment 25)'''(3,316명)
:* 연대장 쿠르트 마이어 SS대령
:* 1대대 - 대대장 한스 발트뮐러 (Hans Waldmüller) SS소령
::* 1중대
::* 2중대
::* 3중대
::* 4중대 - 중화기 중대
:* 2대대 - 대대장 한스 슈카피니 (Hans Scappini) SS소령
::* 5중대
::* 6중대
::* 7중대
::* 8중대 - 중화기 중대
:* 3대대 - 대대장 칼 하인츠 밀리우스 (Karl-Heinz Milius)
::* 9중대
::* 10중대
::* 11중대
::* 12중대
::* 13중대 - 중보병포 중대 150mm sIG 33|150mm sIG 33de(자주포) x 6
::* 14중대 - 대공 중대 Flak 20mm|Flak 20mmde x 12
::* 15중대 - 수색 중대 폴크스바겐 장비
::* 16중대 - 공병 중대
- '''제26SS기갑척탄병연대(SS-Panzergrenadierregiment 26)'''(3,316명)
:* 연대장 빌헬름 몽케 SS중령
:* 1대대 - 대대장 베른하르트 크라우제 (Bernhard Krause) SS소령
::* 1중대
::* 2중대
::* 3중대
::* 4중대 - 중화기 중대
:* 2대대 - 대대장 베른하르트 지프켄 (Bernhard Siebken)
::* 5중대
::* 6중대
::* 7중대
::* 8중대 - 중화기 중대
:* 3대대 (보병 수송 장갑차 대대)- 대대장 에리히 올뵈터 (Erich Olboeter) SS소령
::* 9중대
::* 10중대
::* 11중대
::* 12중대
::* 13중대 - 중보병포 중대 150mm sIG 33|150mm sIG 33de(자주포) x 6
::* 14중대 - 대공 중대 Flak 20mm|Flak 20mmde x 12
::* 15중대 - 수색 중대 폴크스바겐 장비
::* 16중대 - 공병 중대
- '''제12SS기갑수색대대(SS-Aufklärungsbataillon 12)'''(938명)
:* 대대장 게르트 브레머 SS소령
::* 1중대 - 장갑차 중대 Sdkfz 221|Sdkfz 221de 및 Sdkfz 231|Sdkfz 231de 장비
::* 2중대 - 장갑차 중대
::* 3중대 - 수색 중대
::* 4중대 - 수색 중대
::* 5중대 - 중화기 중대
- '''제12 SS 전차구축 대대(SS-Panzerjägerbataillon 12)'''(516명)
:* 대대장 야콥 한라이히 (Jakob Hanreich) SS소령
::* 본부 중대
::* 1중대 - 게오르그 후어들레브링크 (Georg Hurdlebrink) SS중위 - 4호 구축전차 x 10
::* 2중대 - 바흐터 (Wachter) SS중위
::* 3중대 - 뵈스트 (Woest) SS대위
::* 3중대의 마더는 나중에 4호 구축전차로 인가 변경. 정확한 변경일은 불명.[38]
- '''제12SS기갑포병연대(SS-Panzerartillerieregiment 12)'''(2,499명)
:* 연대장 프리츠 슈뢰더 (Fritz Schröder) SS중령
:* 1대대 - 대대장 에릭 우르바니츠 (Eric Urbanitz) SS소령
::* 1포대 - 105mm 자주포 Wespe|105mm 자주포 Wespede x 6
::* 2포대 - 105mm 자주포 Wespe|105mm 자주포 Wespede x 6
::* 3포대 - 150mm 자주포 Hummel|150mm 자주포 Hummelde x 6
:* 2대대 - 대대장 알프레트 쇠프스 (Alfred Schöps) SS소령
::* 4포대 - 105mm 경곡사포 x 6
::* 5포대 - 105mm 경곡사포 x 6
::* 6포대 - 105mm 경곡사포 x 6
:* 3대대 - 대대장 칼 바틀링 (Karl Bartling) SS소령
::* 7포대 - 150mm 중곡사포 x 4
::* 8포대 - 150mm 중곡사포 x 4
::* 9포대 - 150mm 중곡사포 x 4
::* 10포대 - 105mm 장포신 곡사포 (Kanone)
- '''제12 SS 방사포 대대(SS-Werferbataillon 12)'''(약 675명)
:* 대대장 빌리 뮐러 (Willy Müller) SS소령
::* 1포대 - (편성 중)
::* 2포대 - (편성 중)
::* 3포대 - (편성 중)
::* 4포대 - (편성 중)
- '''제12 SS 방공 대대(SS-Flak-Bataillon 12)'''(약 940명)
:* 대대장 루돌프 펜트 (Rudolph Fend) SS소령
::* 1포대 - 88mm 대공포 x 4
::* 2포대 - 88mm 대공포 x 4
::* 3포대 - 88mm 대공포 x 4
::* 4포대 - 37mm 대공포 x 9
::* 5포대
::* 병력 970명
- '''제12 SS 기갑 공병 대대(SS-Panzerpionierbataillon 12)'''(약 1,050명)
:* 대대장 지크프리트 뮐러 (Siegfried Müller) SS소령
::* 1중대
::* 2중대
::* 3중대
::* 4중대
- '''제12 SS 기갑 통신 대대(SS-Panzernachrichtenbataillon 12)'''(519명)
:* 대대장 에리히 판델 (Erich Pandel) SS소령
::* 1중대
::* 2중대
- '''제12 SS 보급대 (Versorgungstruppen)'''(2,490명)
- '''제12 SS 사단 수송대 (12.Panzerdivisions-Nachshubtzuppen)'''(976명)
:* 대대장 롤프 콜리츠 (Rolf Kolitz) SS소령
::* 1중대
::* 2중대
::* 3중대
::* 4중대
::* 5중대
::* 6중대
- '''제12 SS 기갑 정비 대대(SS-Instandsetzungsabteilung 12)'''(543명)
:* 대대장 아투어 만타이 (Artur Manthei) SS소령
::* 1중대
::* 2중대
::* 3중대
::* 4중대
::* 5중대
- '''제12 SS 관리 대대(SS-Wirtschaftsbataillon 12)'''(311명)
:* 대대장 코스 박사 (Dr. Kos) SS소령
::* 제빵 중대 (Bäckerei)
::* 도축 중대 (Schlächterei)
::* 급식대 (Verpflegungsamt)
::* 야전우편국
- '''제12 SS 의무 대대(SS-Sanitätsabteilung 12)'''(660명)
:* 대대장 롤프 슐츠 (Rolf Schulz) SS대령
::* 위생 중대
::* 위생 중대
::* 구급차 중대
::* 수송 중대 (Versorgungs)
- '''제12 SS 야전 보충 대대'''(2,438명)
:* 네덜란드 아른험에 주둔
이 SS 부대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33]
- 제12SS 오토바이 연대 (SS-Kradschützenregiment 12)
- 제12SS기갑수색대대(SS-Aufklärungsbataillon 12)
- 제12SS 대전차엽병 대대 (SS-Panzerjägerbataillon 12)
- 제12SS 발연 대대 (SS-Werferbataillon 12) - 6연장 15cm 로켓포 (비밀 명칭이 연막 발사기)를 총 12기 장비
- 제12SS 고사포 대대 (SS-Flak-Bataillon 12)
- 제12SS 장갑 공병 대대 (SS-Panzerpionierbataillon 12)
- 제12SS 장갑 통신 대대 (SS-Panzernachrichtenbataillon 12)
- 제12SS 정비 대대 (SS-Instandsetzungsabteilung 12)
- 제12SS 수송 소대 (SS-Nachschubtruppen 12)
- 제12SS 운영 대대 (SS-Wirtschaftsbataillon 12)
- 제12SS (자동차화) 전시 보도반 (SS-Kriegsberichterzug (mot) 12)
- 제12SS 야전 헌병 소대 (SS-Feldgendarmerie-Trupp 12)
- 제12SS (자동차화) 군사 우편국 (SS-Feldpostamt (mot) 12)
- 제12SS 의료 대대 (SS-Sanitätsabteilung 12)
참조
[1]
간행물
12. SS-Panzer-Division "Hitlerjugend", Ia. Anlage 3 zu Tgb. Nr. 69/43 g.Kdos. Betr.: Monatliche Zustandsbericht. Meldung vom 1 November 1943.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RH 10/321, fol. 9.
[2]
서적
Normandy 1944: German Military Organization, Combat Powe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semate
[3]
서적
Normandy 1944: German Military Organization, Combat Powe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semate
[4]
간행물
12. SS-Panzer-Division "Hitlerjugend", Ia. Anlage zu Ia Tgb. Nr. 1182/44 g.Kdos. v. 4.11.44. Betr.: Monatliche Zustandsbericht. Meldung vom 1.11.1944.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RH 10/321, fol. 36.
[5]
간행물
12. SS-Panzer-Division "Hitlerjugend", Ia Tgb. Nr. 108/45 g.Kdos. Betr.: Monatliche Zustandsbericht. Stand: 1.2.45.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RH 10/321, fol. 52.
[6]
간행물
Geheime Kommandosache. Der Verbindungs-Offizier des Reichsführers-SS beim Führer, den 27.4.45. Stärkemeldung der 6. SS-Pz. Armee. 12. SS-Pz. Div. "Hitlerjugend", Stand 25.4.45 Abends.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RH 10/308, fol. 36.
[7]
문서
Official designation in German language as to "Bundesarchiv-Militärarchiv" in [[Freiburg im Breisgau]], stores of the [[Wehrmacht]] and [[Waffen-SS]].
[8]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 Hitler's Teen Killers
https://www.natgeotv[...]
2024-04-30
[9]
서적
Steel Inferno
Spellmount Publishing
[10]
서적
Steel Inferno
Spellmount Publishing
[11]
문서
Barbier, p. 113.
[12]
문서
Milner, p. 129.
[13]
문서
Milner, p. 130.
[14]
서적
The Victory Campaign
The Queen's Printer and Controller of Stationery
[15]
웹사이트
Stacey, op. cit., p. 137 and Haller, Oliver: "The Defeat of the 12th SS 7–10 June 1944", in Canadian Military History Quarterly, Volume 3, Issue 1
http://www.wlu.ca/lc[...]
[16]
문서
Stacey, ibid. Stacey notes that Meyer's own notes were not explicit on this point.
[17]
문서
Haller, The defeat of the 12th SS from 7–10 June 1944 (From: Canadian Military History, Spring 1996)
[18]
문서
Copp, ''Fields of Fire: The Canadians in Normandy'', p. 67.
[19]
서적
The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the Second World War Volume 3: The Victory Campaign
[20]
서적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the Second World War Volume III
Queen's Printer
[21]
서적
Holding Juno
Douglas&McIntyre
[22]
문서
Haller, Oliver. Defeat of the 12th SS.
[23]
문서
Martin, Charles Cromwell ''Battle Diary'' See also Stacey, op. cit.
[24]
문서
Battle of Caen: The Stalingrad of the Hitler Youth by Gerhard Rempel
[25]
서적
Vol. III - The Victory Campaign
http://www.cmp-cpm.f[...]
The Queen's Printer and Controller of Stationery
2015-10-23
[26]
문서
Forty 2004, p. 29.
[27]
서적
D-Day: The Battle for Normandy
Penguin
[28]
서적
The 12th SS: The History of the Hitler Youth Panzer Division Volume 2
Stackpole Books
[29]
서적
The Kurt Meyer Case: The Press and the Canadian People's Response to Canada's First War Crimes Trial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30]
서적
Grenadiers
JJ Fedorowicz Publishing LTD
[31]
서적
Panzers in Winter; Hitlers Army and the Battle of the Bulg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2]
서적
Panzers in Winter; Hitler's Army and the Battle of the Bulge
Greenwood
[33]
문서
GORDON WILLIAMSON: "The SS Hitler's Instrument of the power"; published by KAISER; appendix, page 244, "Schlachtordnung der Waffen-SS / Waffen-SS order of battle"; copyright 1994 by Brown Packaging Books Ltd., London.
[34]
문서
MILITÄRISCHES STUDIENGLOSAR ENGLISCH Teil II/ Teil III, Deutsch – Englisch, Abkürzung Begriff, Bundessprachenamt (Stand Januar 2001).
[35]
문서
Official designation as to "Bundesarchiv-Militärarchiv" in [[Freiburg im Breisgau]], stores of the [[Wehrmacht]] and [[Waffen-SS]].
[36]
서적
SS第12戦車師団史 ヒットラー・ユーゲント
大日本絵画
[37]
서적
擲弾兵―パンツァーマイヤー戦記
学研M文庫
[38]
서적
SS 第 12 戰車師團史 上
大日本繪畵
[39]
서적
동 서적
[40]
서적
Grenadiers: The Story of Waffen-SS General Kurt "Panzer" Meyer
[41]
서적
SS 第 12 戰車師團史 上
[42]
서적
동 서적
[43]
서적
Grenadiers: The Story of Waffen-SS General Kurt "Panzer" Meyer
[44]
서적
Hitler's Gladiator:The Life and Wars of Panzer Army Command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